별들이 넘실거리는 바다

아이들 위인전도 그렇지는 않다. 본문

공유하고 싶은

아이들 위인전도 그렇지는 않다.

StarCatcher 2015. 2. 5. 16:31

[노트북을 열며] 아이들 위인전도 그렇지는 않다

[중앙일보] 입력 2015.02.05 00:03 / 수정 2015.02.05 00:09


이도은
중앙SUNDAY 기자

아이들 책을 보다 보면 종종 놀란다. 수십 년 전 읽던 동화책들과 사뭇 달라서다. 내용은 그대로인데 책 뒤에 생각거리를 던져준다. 권선징악을 대표하는『콩쥐팥쥐』에서는 콩쥐가 계모와 팥쥐로부터 당하기만 할 때까지 친부인 아빠는 무엇을 했느냐고 되묻는다. 『성냥팔이 소녀』를 보자면, 한 소녀가 추위와 굶주림으로 죽어갈 때까지 사회가 아무것도 하지 않았음을 일깨워준다. 현상의 다면성을 짚어주자는 것인데, 이쯤이면 웬만한 대학 수업 수준이다.

 하지만 가장 혁신적인 건 위인전이다. ‘묻지마 신격화’의 틀을 버렸다. 가령 이순신 장군이 여섯 살 때부터 어려운 책을 줄줄 외웠다는 얘기 대신 어려운 결정을 내리기까지 수없이 고민하던 한 인간이었음에 초점을 맞춘다. “지나치게 비범한 영웅의 일대기가 더 이상 아이들의 공감을 살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아예 요즘 출판계에선 위인전을 ‘인물전’으로 바꿔 부르기도 한다. 그러면서 김연아·스티브 잡스·워런 버핏 등 현대적 인물들을 포함해 역사적 위인들을 친근하게 그려낸다. 책 속에서 안철수 의원은 ‘어릴 적 부끄러움이 많은 성격’으로, 스티브 잡스는 ‘집중력이 뛰어났지만 그만큼 남을 배려하지 못했던 청년’으로 묘사하며 균형감을 잡는 것도 요즘 위인전의 특징이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회고록 『대통령의 시간』에 대해 연일 쏟아져 나오는 비판을 접하면서 달라진 아이들 책이 새삼 떠올랐다. 고전 중의 고전이라는 전래동화와 위인전조차 성숙해진 아이들의 시각을 맞추려 하는데, 저자인 MB는 왜 퇴임 후 첫 저서를 내면서 균형감각을 갖추지 못했느냐는 의문이 생겼다. 말이나 없었으면 모를까, “기억이 용탈돼 희미해지기 전 대통령과 참모들이 생각하고 일한 기록을 가급적 생생하게 남기고 싶었다” “무엇보다 자화자찬을 경계했고, 의도하지 않더라도 한 일들이 미화되거나 과장되어 기억될 위험이 있는 것들을 경계했다”는 얘기가 더욱 공허하게 느껴졌다. 세상에 빛이 있으면 그림자가 있는 것을, 한 네티즌의 말마따나 모든 사안을 어찌 그처럼 ‘기-승-전-자화자찬’으로 일관되게 그려낼 수 있는 것인지 말문이 막히기까지 하다. 지금도 한창 논란이 되고 있는 4대강 사업에 대해선 되레 자랑으로, 국정조사를 계획 중인 자원외교에 대해 아직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마무리하는 대목에선 한숨이 나온다.

 전직 대통령의 회고록이었다. 무릇 회고록이란 한 개인과 그를 둘러싼 상황에 관심을 기울이며 공적인 측면을 객관적으로 서술해야 했다. 그것이 갑남을녀가 쏟아내는 자서전과 다른 점이다. 과거 대통령의 시간이었다. 6년에 걸쳐 집필하고, 각종 문서를 접목시켜 노벨문학상까지 탄 윈스턴 처칠 전 영국 총리의 회고록까지는 바라지도 않는다. 최소한의 균형 감각을 갖추고, 그래서 독자에게 다양한 생각거리와 평가를 던져줄 수 있는 기록이면 족했다. 아이들 위인전도 그런 수준이다.

이도은 중앙SUNDAY 기자






이명박 대통령이 회고록을 냈구나.

한동안 뉴스를 안 봤더니 그런 소식도 못 들었다.

성경에 이런 구절이 있다.

타인이 너를 칭찬하게 하고 네 입으로는 하지 말며 외인이 너를 칭찬하게 하고 네 입술로는 하지 말지니라 (잠27:2)


처칠의 회고록을 읽어보고 싶단 생각이 든다.

노벨 문학상까지 수상할 정도로 훌륭한 작품이라면 죽기 전에 반드시 읽어봐야 한다.


더불어 요새 아이들을 위한 동화책이나 위인전이 예전과는 다르게

상황과 인물을 심도있게 다루고 있다는 점이 놀랍다.

요새 아이들은 타인의 입장과 사회적 맥락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똘똘한 것인가

우리 때 동화는 그저 착하게 살면 복 받는다, 백마 탄 왕자님 환상 심어주는 정도에만 그쳤던 것 같은데...

근데 과연 아이들이 그 교훈을 이해할까..?



Comments